본문 바로가기
당신의 생활정보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by ◑ ▒ ▤ ▥ 2022. 9. 17.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 완화를 위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국내여행, 체육활동을 지원하는 문화누리카드를 발급해 주고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문화누리카드는 연간 10만 원의 문화비를 지원하여 각종 문화생활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알아두면 쓸모 있는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 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목차

문화누리카드 발급자격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문화누리카드 발급방법
문화누리카드 충전방법

 

 

문화누리카드 발급자격

 

문화누리카드를 발급받으려면 6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본인부담금 면체,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하위계층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가족 구성원인 대상자가 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문화누리카드 사용처를 자세하게 조회해 보시려면 먼저 다음 포털 검색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한 후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선택합니다.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본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문화누리카드를 오프라인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오프라인 가맹점을 선택합니다. 

 

 

오프라인 가맹점 검색에서는 본인이 원하는 가맹점 검색이 가능합니다. 연관 검색어 검색과 이용 분류, 지역검색, 구분 검색, 분류 검색을 사용하여 도서, 전시, 숙박, 음악, 영화, TV, 공연, 문화체험, 직업체험, 국내 항공, 여객선, 스포츠 관람 등 다양한 분류를 선택하고 검색하기를 클릭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오프라인 검색 결과를 확인하시면 가맹점과 주소, 전화번호, 지도보기, 상세보기 등 가맹점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온라인 가맹점을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측의 메뉴에서 온라인 가맹점을 선택합니다. 

 

 

온라인 가맹점 검색 역시 가명점 검색, 연관검색어 검색, 이용 분류, 구분 검색, 분류 검색을 선택하시고 하단의 검색하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온라인 검색 결과를 확인하면 가맹점 이름과 분류, 홈페이지 주소, 상세보기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발급방법

 

문화누리카드를 발급받는 방법은 먼저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서를 제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 접속 후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문화누리 모바일 앱 실행 후 상단에서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신청하여 발급받은 문화누리카드는 일반 카드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이나 ARS 등록을 통해 사용 가능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충전방법

 

문화누리카드를 충전하려면 농협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인터넷, 모바일, 텔레뱅킹, ATM 등의 기기를 통하여 카드 전면 하단에 표시된 가상계좌로 원하는 금액을 입금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충전 가능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이며 충전한도는 카드 1매당 1회 100원 이상으로 충전시점 보유 잔액 포함 10만 원까지만 충전이 가능합니다. 연간 누적 이용금액이 200만 원 한도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그리고 기타 사항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백범일지에서 김구 선생은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저 역시 성장기에 문화생활을 경험할 수 있어서 제 삶의 진로를 개척하고 나아가는데 힘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서 문화적으로 소외되던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공익직불금 신청자격

✅공익직불금 신청자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생산 작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농업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농지 규모에 따라 직불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공익직불금은

butt.nemomefood.com

 

 

 

반응형

댓글